Google

2007년 6월 20일 수요일

[빚테크] 마이너스통장 덥석 쓰는 당신 "뒤를 보라"

일반적으로 대출이자는 시중은행이 저축은행이나 카드ㆍ캐피털회사에 비해 싸다. 시중은행 대출 상품 가운데서도 주택담보대출이 가장 이자가 싼 편이고 예ㆍ적금담보대출, 신용대출, 마이너스통장 순으로 이자가 점점 비싸진다.


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은 크게 변동금리상품과 고정금리상품 그리고 혼합금리(고정금리+변동금리) 상품 등 고객의 금리 선택폭이 넓다. 또 최장 35년까지 장기 대출기간과 다양한 상환 방법이 있다. 은행별로 잘만 비교하면 꽤 괜찮은 조건에 대출받을 수 있다.


하지만 총부채상환비율(DTI) 규제 도입으로 인해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이 과거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.


"부득이 마이너스통장을 만들었다면 돈이 꼭 필요하지만 구하기 힘들 위급시에만 사용한다. 평소에 마이너스통장 잔액을 0으로 하다 꼭 필요할 때만 쓰는 것이다."


은행들은 주택투기지역과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6억원 초과 아파트 담보대출에 적용하던 DTI 규제를 3월부터 6억원 이하 아파트로 확대했다. 또 이들 지역에서 대출금이 5000만원을 넘을 때는 DTI를 소득과 부채, 고객 신용등급, 대출금액, 금리조건 등에 따라 35~60% 차등 적용하고 있다.


연소득 4000만원인 사람이 5억원짜리 아파트를 담보로 만기 16년짜리 대출을 받을 경우 과거 대출 최대금액이 3억원이었지만 3월부터 1억5600만원(연리 6.2% 가정)으로 반토막이 났다.


예ㆍ적금담보대출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 다만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담보가 되는 예ㆍ적금보다 적다는 점을 알아둬야 한다.


예ㆍ적금담보대출은 말 그대로 은행에 들어두었던 예금이나 적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상품이다. 일반적으로 시중은행의 예금담보 대출금리는 보통 예금 금리+1.5%포인트 선이다. 특히 주택청약예금ㆍ부금이나 장기주택마련저축 등 섣불리 깨기 어려운 장기 예ㆍ적금을 담보로 대출받으면 유리하다. 예를 들어 국민은행 주택청약예금(연 3.55%)에 1000만원을 넣어뒀다면 95%인 950만원까지 연 5.05% 금리로 빌릴 수 있다.


은행에서 가입한 펀드를 담보로 대출받을 수도 있다. 다만 대출금액이 예ㆍ적금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다. 예를 들어 국민은행 주식형 펀드를 담보로 대출받을 때는 평가금액의 50%, 채권형 펀드는 80%까지만 대출받을 수 있다. 이자도 예ㆍ적금담보대출에 비해 높은 7.05%다.


신용대출이란 은행이 담보없이 대출자의 직업과 연봉 등 신용상태를 평가해 대출해 주는 것을 뜻한다. 의사 변호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법무사 등 전문직 종사자를 위한 신용대출 상품은 파격적인 금리와 한도를 제시하고 있다. 하지만 이런 전문직 종사자가 아니라면 우선 자신이 다니는 회사와 금융회사 간 협약을 통해 보다 유리한 대출금액과 금리조건으로 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 협약대출 상품이 있는지 확인해보자. 이러한 협약대출은 일반적으로 대출 은행에 급여이체 등을 하면 추가로 우대금리가 적용된다.


마이너스통장은 통장에 돈이 없을 때 현금이 필요하면 언제든 은행에 빚을 내 돈을 꺼내 쓸 수 있는 통장이다. 신용대출의 일종이기 때문에 개인 신용도를 보고 만들어 주며 또 일정한 한도가 있다.


신용대출이 한번에 목돈을 빌리는 반면 마이너스 통장은 적은 돈을 수시 인출할 수 있고 나중에 원금과 이자가 통장에서 빠져나간다.


보통 마이너스통장 이자는 신용대출 이자보다 높다. 따라서 언제 얼마만큼 돈이 필요할지 정해져 있다면 신용대출을 받는 게 유리하다.


어쩔 수 없이 마이너스통장을 만들 때는 주거래은행에서 통장을 만들고 개인신용도를 높이는 식으로 이자를 낮추도록 해야 한다.


부득이 마이너스통장을 만들었다면 돈이 꼭 필요하지만 구하기 힘들 위급시에만 사용한다. 평소에 마이너스통장 잔액을 0으로 하다 꼭 필요할 때만 쓰는 것이다. 또 돈이 많이 필요할 때도 마이너스통장 대출한도를 꽉 채워서 100% 사용하지 말고 10% 정도 여유를 두고 이용하는 것이 좋다. 만약 100% 다 채워서 쓰면 다음달에 이자가 청구돼 자칫 대출한도를 초과하게 된다. 이때 20%에 육박하는 높은 연체이자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.

[조시영 기자]

[ⓒ 매일경제 & mk.co.kr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
댓글 없음: